[이코테/bfs/삼성 기출] 인구 이동(정답, 풀이, 풀리지 않는 의문..)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6234 https://www.acmicpc.net/problem/16234 정답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l,r = map(int,input().split()) graph =[]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input().split()))) dx = [1,0,1,0] dy = [0,-1,0,1] def process(x,y,index): # 한 연합의 인구이동 로직 united = [] # 한 연합에 포함되는 나라가 담길 배열. 인구이동 시 필요 united.append((x,y)) q = deque() # dfs수행. 국경선을 여는 조건에 따라 연합을 확..
[이코테/dfs/삼성기출] 연산자 끼워넣기(정답,해설)
문제 14888번: 연산자 끼워넣기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2 ≤ N ≤ 11)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1, A2, ..., AN이 주어진다. (1 ≤ Ai ≤ 100) 셋째 줄에는 합이 N-1인 4개의 정수가 주어지는데, 차례대로 덧셈(+)의 개수, 뺄셈(-)의 개수, 곱 www.acmicpc.net 정답(순열)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n = int(input()) nums = list(map(int,input().split())) data = list(map(int,input().split())) exam = ["p","m","c","d"] opers = [] for d in range(len(data)): for _ in range(data[d]): op..
[이코테/구현] 치킨배달
문제 크기가 N×N인 도시가 있다. 도시는 1×1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시의 각 칸은 빈 칸, 치킨집, 집 중 하나이다. 도시의 칸은 (r, c)와 같은 형태로 나타내고, r행 c열 또는 위에서부터 r번째 칸, 왼쪽에서부터 c번째 칸을 의미한다. r과 c는 1부터 시작한다.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치킨을 매우 좋아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치킨 거리"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치킨 거리는 집과 가장 가까운 치킨집 사이의 거리이다. 즉, 치킨 거리는 집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각각의 집은 치킨 거리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치킨 거리는 모든 집의 치킨 거리의 합이다. 임의의 두 칸 (r1, c1)과 (r2, c2) 사이의 거리는 |r1-r2| + |c1-c2|로 구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