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사용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CLI(Command Line Interface) - 터미널을 이용해 관리하는 방법
2.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시각적인 편의를 제공하는 툴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heidiSQL(MariaDB), MySQL Workbench(MySQL) 을 사용했었다.
그래서 본 프로젝트에서도 아마 compass를 위주로 진행하게 되겠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하며 CLI를 사용해서 관리하는 방법을 조금이라도 익혀보고자 한다.
1. 설치를 해보자
MongoDB는 Community Edition과 Enterprise Edition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Enterprise Edition은 보안 및 고급 기능, 지원 등을 필요로 하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적합하다. (유료)
반면, Community Edition은 개발 및 테스트 환경, 개인 프로젝트, 소규모 애플리케이션 등에 적합하다.
나는 Community Edigion을 설치했음
다운로드 링크↓
Try MongoDB Community Edition
Try MongoDB Community Edition on premise non-relational database including the Community Server and Community Kubernetes Operator for your next big project!
www.mongodb.com
스크롤을 내리면 버전과 os에 맞는 platform, package를 선택할 수 있다.
나는 가장 최신 버전, windows x64, msi를 선택해서 다운로드를 해줬다.
그리고 다운받은 파일을 열어서 설치를 진행해준다.
complete와 custom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는데,
complete는 기본적으로 모든 구성요소가 설치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옵션이다.
custom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아래의 화면처럼
설치 경로를 바꾸려면 custom으로 들어가서 browse버튼을 통해 디렉토리를 설정해주면 된다.
나는 일반옵션인 complete를 통해 설치했다
여기서 install MongDB Compass를 체크하여 gui도구를 함께 설치해준다
install을 눌러 설치를 완료해 주면 끝!
2. 실행을 해보자
일단 먼저 환경변수 설정을 할건데,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과정이 왜 필요하냐면
보통 따로 변경을 하지 않았다면 기본설치경로인 C:\Program Files\MongoDB에 설치된다.
처음에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으로 잘못 설치했다가 지우고 다시 커뮤니티 에디션을 설치했는데,
bin파일의 구성이 커뮤니티가 훨씬 적다
아무튼, 그 bin파일 안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려면 매번
C:\Program Files\MongoDB\Server\7.0\bin\mongod 와 같은 식으로 입력해서 실행을 해야 하는데
이 때, bin 폴더의 경로를 환경변수로 등록해놓으면 cmd창에서 바로 mongod 명령어를 통해 실행이 가능하다.
작업표시줄에서 환경 변수를 검색하여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 메뉴를 통해 바로 접근할 수 있다.
환경변수 탭을 클릭한 후
시스템 변수에서 Path변수를 찾아 편집을 눌러준다.
새로만들기를 클릭한 후 복사해둔 bin폴더 경로를 입력하고 확인.
mongod --version
명령어를 통해 설치된 mongodb의 버전을 확인
잘 설치되었다면 실행을 해보자.
mongod
여기까지 했다면
일단 정상적으로 설치 및 실행이 완료된 것임!
다음 포스트에서는 CLI도구인 mongo.exe와 GUI인 compass를 둘 다 사용해서 데이터를 다뤄봐야겠다.
'개발 > ⚙️ 환경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m] nvm으로 nodejs 버전관리하기(설치, 명령어) (1) | 2024.05.14 |
---|---|
[IntelliJ]IntelliJ 프로젝트 기초설정, 환경세팅(MongoDB연결, REST API구동) - 관련에러들 (1) | 2023.12.02 |
[MongoDB] MongoDB 명령어 기초 다지기(mongo명령어 안 될 때) (3) | 2023.12.02 |
[Git]리액트 프로젝트 생성 후 github 연동 명령어/주의사항(README.md/branch) (2) | 2023.11.20 |